티스토리 뷰

 

매년 5월 20일은 '세계 벌의 날'입니다. 이는 2017년 12월 20일. UN(국제연합)은 생태계에 보호와 식량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벌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지정한 날입니다. 기념일은 유럽 국가 중 가장 큰 양봉 국가인 슬로베니아의 양봉산업의 선구자 역할을 한 양봉가 '안톤 얀사'의 생일에서 따왔다고 합니다. 2015년 유엔에 벌의 날 지정을 발의하고, 2017년 12월에 유엔총회에서 공식적으로 '세계 벌의 날'로 제정되었습니다.

 

 

 

[목차여기]

 

 

 꿀벌의 의미

 

꿀벌은 각종 식물 수술의 꽃가루(화분)를 암술머리에 옮겨 열매를 맺도록 도와줍니다. 전 세계 100대 농작물 중 70% 이상이 꿀벌의 수분(受粉) 활동으로 생산되며, 이는 전 세계 식량의 90%를 차지합니다. 꿀벌의 경제적 가치는 약 6조 7000억 원으로 추정됩니다. 그러나 급격한 기후 변화와 무분별한 농약 사용으로 꿀벌들이 사라지는 일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꿀벌이 없으면 채소, 과일, 곡물 등의 생산에 큰 영향을 주며, 이는 인간에게 식량위기라는 큰 타격을 줄 수밖에 없습니다.

 

 

 

 

 꿀벌이 사라진다.

 

최근 들어 꿀벌들이 사라지고 있다는 뉴스를 종종 보게 됩니다. 지난해 겨울 꿀벌들이 대규모로 사라지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국내에서 사육하는 꿀벌 중 약 78만 마리가 폐사한 것으로 농림축산식품부에서 파악했습니다. 현재 양봉용 꿀벌은 6% 정도 감소한 것으로도 추정됩니다.

 

 

주요 원인으로 해충피해 (꿀벌응애), 말벌의 공격, 이상기온, 농약 사용 등으로 꼽을 수 있는데요.  특히 2021년 가을. 저온현상으로 꿀벌의 발육이 원활하지 못한 점과 겨울에는 고온으로 꽃이 피자, 봄이 온 줄 알고 월동 중이던 꿀벌들이 화분 채집과 외부활동하다 해가 지는 오후 기온의 하락과 체력의 소진 등으로 벌통으로 돌아오지 못하는 상황도 발생했습니다. 특히 꿀벌응애 피해를 막고자 여러 약제를 과도하게 사용하여, 월동 전 꿀벌 발육에 나쁜 영향을 미친 요인도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꿀벌들이 사라지는 문제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겪고 있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꿀벌을 지킬 방법

 

아인슈타인은 '꿀벌이 사라지면 인류도 4년 안에 멸종한다'라고 말했습니다. 우리가 먹고 있는 대부분의 식량과 과일들이 꿀벌 없이는 열매를 맺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각 국가들도 꿀벌을 살리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는데요. 유럽에서는 260만 명의 서명운동으로 곤충 신경계를 교란시키는 네오니코티노이드 농약 사용금지하기로 하였고, 우리나라도 '도심 양봉'을 시작했습니다.

 

 

서울시가 아카시아꽃이 자라는 상암동 월드컵공원에 양봉장을 만들어서 꿀벌 2만여 마리를 입양했습니다. 또한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도 꿀벌을 지키기 위해 꿀벌의 먹이가 되는 밀월식물 심기, 미세먼지 줄이기, 나무 심기 등의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고 합니다.  꿀벌들이 서식할 수 있는 공간이 여의도 면적의 1000배가 넘는 30만 ha 규모로 확보되어야 집단폐사를 막을 수 있다고도 합니다. 꿀벌 만의 생존이 아니라 인간의 생존과도 밀접한 만큼 꿀벌을 지키며 함께 공존할 수 있도록 실천해야 할 것입니다.

 

0123456789

 

 

 꿀벌의 대안으로 '뒤영벌(호박벌)'

뒤영벌

 

 

꿀벌이 사라지고 있는 이때에 대안으로 떠오르는 벌이 있습니다. 바로 '뒤영벌(호박벌)'인데요. 꿀을 생산하는 꿀벌과는 다르게 가슴의 근육을 진동시켜 몸에 난 털에 꽃가루를 묻히는 행동을 하는 벌입니다. 이렇게 진동을 일으켜 몸에 묻은 꽃가루가 떨어지면 수분(受粉, 수술의 화분이 암술머리에 옮겨 붙는 일)이 이루어져 수정이 됩니다. 또한 뒤영벌은 7℃에서는 활동하지 않는 꿀벌에 비해 5℃ 저온에서도 체온을 유지하며 활동하며, 비 오는 흐린 날이든 해가 지는 시간에도 활동합니다. 이러하여 토마토, 고추, 가지 등 식물과 딸기, 참외, 블루베리, 복숭아 등 과일 재배의 수정벌로써 사용되고 있습니다. 현재 뒤영벌을 사용하는 농가의 매출에 많은 도움을 주는 1등 공신이며, 꿀벌의 대안으로 뒤영벌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참고로 뒤영벌의 영어로는 '뒝벌(범블비 : Bumblebee)인데, 뒤영벌 이름을 참고하여 해리포터 덤블도어(Dumbledore) 교장선생님의 이름을 지었는데, 음악을 좋아하는 마법학교 교장이 벌처럼 콧노래를 부르는 모습을 상상했다고 합니다.